프론트엔드 테스트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, 어떻게, 꼭 해야할까? (+Jest, Puppeteer, Cypress)
들어가며 이 글에선 프론트엔드의 테스트 코드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, 테스트 코드 작성법, 좋은 테스트란 어떤 것인지, 나아가 리액트에서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설명할 것입니다. 저와 같은 문제를 겪은 분들께 도움이 되는 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. 간결한 문장을 위해 평어체로 진행하겠습니다. 내가 겪은 문제 나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려고 할 때면, 어디까지 Mocking을 해야하는지, 파라미터 테스트 범위는 어느 정도가 적합한지, 테스트 단위를 얼마나 나눠야하는지 막막했다. 그리고 이렇게 짜는게 맞는건지, 생각할 수 있는 케이스는 다 해본 것 같은데도 불구하고 테스트 커버리지가 높지 않아 고민하기도 했다. 그러다 최근 우테코에 지원해 4주간의 프리코스를 진행 중인데, 여기서 또 테스트와 만나게 되..
단축키
내 블로그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새 글 쓰기 |
W
W
|
블로그 게시글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모든 영역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